6시에 기상해서 운동 물품을 준비하고 회사 근처 헬스장으로 출근했다. 도착했을 때는 오전 7시 30분쯤이 되어 있었다. 최근 운동은 무분할로 하체, 등, 가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원래는 5분할로 하고 있었지만 최근 운동을 자주 안가서 운동 습관이 다시 생길 때까지 지속하려했는데, 이번 달 출석률만 괜찮다면 다음 달 부터는 조금씩 분할해도 괜찮을 것 같다. 한 주를 생각보다 부지런히 보냈다. 다만 체력 분배를 다시 고려해봐야 할 것 같은게, 백수로 지내다가 한 순간에 일, 운동, 수면시간 단축 이 세 개를 같이 시작해서 살짝 오버페이스 느낌이 있다.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컨디션 조절에 신경 써야겠다. (이틀 뒤 미래에서 왔습니다. 응 실패야~)
해당 글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공부하면서 생긴 이슈, 해결법 등을 정리한 글입니다. [내용] 이슈 내용 : 8장까지 진행 후 EC2 서버에 배포한 서비스의 네이버 로그인을 시도했을 때 실패함 원인 : RDS 생성 시 지정한 파라미터 그룹 중 지정한 내용으로 정상 반영되지 않은 항목이 있어서 그랬음. 반영되지 않은 항목 : - character_set_database : utf8mb4 으로 지정했으나 적용되지 않음 - collation_database : utf8mb4_general_ci 으로 지정했으나 적용되지 않음 해결 방법 : (1) 아래 쿼리로 정상 반영되지 않은 항목을 확인 show variables like 'c%'; (2) DB 접속해서 쿼리로 DB 자체 ..
해당 글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공부하면서 생긴 이슈, 해결법 등을 정리한 글입니다. [내용] 책은 랜 선 연결을 전제로 작성이 되어있지만, 나는 높은 확률로 카페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또 삽질을 했다. 집에서 테스트를 했고,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진행했다. Case 1. 랜 선으로 연결 (책과 같은 환경) Case 2. 랜 허브 사용 (그냥 집에 있길래) Case 3. 와이파이 (랜 선과 동일한 망) Case 4. 핸드폰 핫스팟 Case 1. 랜 선 연결 : 책에서 나온 대로 세팅해서 EC2 와 RDS에 정상 접근이 되도록 했다. 이후 테스트는 현재 세팅 값을 기본으로 진행했으며, 연결 안 될 때마다 값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했다. Case 2. 랜 허브 사용 : Cas..
해당 글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공부하면서 생긴 이슈, 해결법 등을 정리한 글입니다. [내용] 문제점 :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Chapter7) 진행 중 RDS 접속이 안됨 (윈도우, 랜선 연결) 원인 : DB Name 설정 등을 잘 못 했었음. (그래서 괜히 보안그룹 인바운드 규칙도 건드려 봄) 해결 : 1. 인바운드 규칙 - 괜히 이것 저것 건드렸지만 결국 아래처럼 내 IP 는 셀렉박스 그대로 두면 되는 걸 확인함 2. DB Name - 일단 이미지부터 보자. DB 접속 시에 빨간 박스로 표시해놓은 DB 이름을 입력해야 되는데, 그 위의 DB 인스턴스 ID를 입력해서 연결이 안 됨. DB 인스턴스 ID와 DB 이름값을 똑같게 입력했으면 발생하지 않..